훈몽자회 상권에 나타난 우리말의 변천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3 09:10
본문
Download : 훈몽자회 상권에 나타난 우리말의 변천에 대하여.hwp
훈몽자회 상권에 나타난 우리말의 변천에 대하여훈몽자회 , 훈몽자회 상권에 나타난 우리말의 변천에 대하여기타레포트 ,
레포트/기타
훈몽자회 상권에 나타난 우리말의 변천에 대하여
,기타,레포트
Download : 훈몽자회 상권에 나타난 우리말의 변천에 대하여.hwp( 67 )
설명
순서
훈몽자회
훈몽자회 상권에 나타난 우리말의 변천에 대하여
Ⅰ. 훈몽자회 상권에 나타난 변천 연구 대상의 우리말
Ⅱ. 주요 문헌의 편찬.간행 연대
Ⅲ. Reference List
Ⅰ. 훈몽자회 상권에 나타난 변천 연구 대상의 우리말
♣ (상4b 지리)
☞ 용례
① 매 업거늘 <용비어천가 20장>
② 미 서늘니 <두시언해 6 : 8>
③ 허공 밧V 매 잇고 집이옌 두 며기로다 <두시언해 중간 3 : 26b6>
④ 밧긔 프리 새로 프르도다 (호외초신청) <두시언해 중간 2 : 21a2>
⑤ 큰 흐르 셔 소사나놋다 (월용대강류) <두시언해 중간 3 : 34b8>
⑥ 밧긔와 나그내 외야 (괴위호외객) <두시언해 중간 2 : 51a2>
⑦ 호 (호) <왜어유해 상 9>
☞ 이상의 용례를 통해 살펴 보면
① 중세 어형 ‘’은 외연이 넓어 강, 하, 호를 포함하였으니 그 의미소는 <강, 하, 호>이다.
② ‘강’의 어형 교체는 16세기에 이뤄졌으니, 곧 ‘’에서 ‘강’으로 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③ 16세기 강이 분화될 때 아울러 하, 호도 분화되었으니, 어형 ‘’은 없어지고 ‘강’을 위하여 는 ‘강’, ‘하’를 위하여는 ‘하슈, 믈’이 생겨났는데 후자는 유동 상태로 유지하다가 ‘천’에 가까워 져 ‘하천’ 혹은 ‘내’에 합류하였다.
④ ‘강’ 의미의 어형 교체 분화표
♣ 겨집 (상31b. 천륜)
☞ 용례
① 처는 가시라 <월인석보 1 : 12>
② 늘근 겨지븐 죠 그려 쟝긔파어 (…(skip)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