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타당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5 12:41
본문
Download : 기준타당도.hwp
어떤 도구의 기준타당도를 평가할 때 외부적 기준은 그 도구가 측정(measurement)하고자 하는 변수와동일하거나 또 다른 지표라고 여겨 선택한다(Rubin and Babbie, 2001 : 194)
기준타당도는 내용타당도의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발전된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내용타당도의 문제점(問題點)은 추상적인 개념(槪念)과 구체적인 측정(measurement)을 직접 연결시키는 것에서 비롯된 것이다.
설명
기준타당도(creterion-related validity) 또는 경험타당도(empirical validity)
기준타당도는 외부적 기준(external critetion)에 근거한다.
따라서 기준타당도는 추상적 개념(槪念)과 구체적 측정(measurement)을 직접 연결하…(To be continued )
순서
기준타당도
Download : 기준타당도.hwp( 35 )




기준타당도
기준타당도 , 기준타당도기타레포트 , 기준타당도
레포트/기타
기준타당도,기타,레포트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