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C] 한국의 판소리 (정병욱 저)를 읽고나서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0 00:43
본문
Download : 한국의 판소리 (정병욱 저)를 읽고,.hwp
또한 신재효와 교분이 있었던 정현석의 <<교방제보>>에는 <매화타령>이라는 이름으로 “기년에게 혹해서 망신을 당하니 이는 곧 음탕함을 징계함이다”라고 풀이한 내용이 있다아 이밖에 신재효의 창작으로 보이는 <오섬가>>에는 <베비장타령>과 <강릉매화전>의 줄거리가 부분적으로 introduction되어 있어 그가 판소리의 부활에 얼마나 진력했는가를 알 수 있다아
이 같은 일들로 짐작컨대 조선조 말에서 구한말까지…(생략(省略))
Download : 한국의 판소리 (정병욱 저)를 읽고,.hwp( 41 )
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필요하신 분에게 많은 도움 되시길 바라며, 모두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레파토리 면에서 보면 판소리가 근대에 들어와 분명히 사양길에 접어들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 한국의 판소리 (정병욱 저)를 읽고,감상서평레포트 ,
순서
,감상서평,레포트
줄거리를 최대한 줄이고 제 생각 위주로 작성하였습니다.
레포트/감상서평
%EB%A5%BC%20%EC%9D%BD%EA%B3%A0,_hwp_01.gif)
%EB%A5%BC%20%EC%9D%BD%EA%B3%A0,_hwp_02.gif)
%EB%A5%BC%20%EC%9D%BD%EA%B3%A0,_hwp_03.gif)
%EB%A5%BC%20%EC%9D%BD%EA%B3%A0,_hwp_04.gif)
%EB%A5%BC%20%EC%9D%BD%EA%B3%A0,_hwp_05.gif)
%EB%A5%BC%20%EC%9D%BD%EA%B3%A0,_hwp_06.gif)
`정병욱`의`한국의 판소리`에 대한 독후감입니다.한국의 판소리 (정병욱 저)를 읽고나서 ,
특히 일제시대에는 창극이 발달해 수많은 창극단이 부침했으며 이 때문에 많은 여류명창들이 배출되었다. 신재효의 이 같은 노력은 오늘날 판소리 다섯 마당이 살아남게 되는 결정적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설명
다. 줄거리를 최대한 줄이고 제 생각 위주로 작성하였습니다. 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필요하신 분에게 많은 도움 되시길 바라며, 모두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전반에 생존했던 송만재(1769~1847)의 <<관우회>>에 보면 판소리의 레파토리가 모두 열 두 개였음을 분명히 알 수 있다아 또한 비슷한 시기에 활동했던 윤달선의 <<광한루악부>>에도 “잡가 열두 마당 중에서 <향랑가>는 그 하나다”라는 대목이 있어 당시의 판소리 가짓수가 열두 마당이었음을 뒷받침해주고 있다아
학자들에 따라 opinion(의견)을 달리하곤 있지만 일찍이 판소리 연구의 대가라 할 수 있는 책의 저자 국문학자 정병욱 교수는 열두 마당을 다음과 같이 정리(整理) 하고 있다아
<춘향가> <심청가> <홍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타령> <베비장타령> <옹고집타령> <강릉매화전> <장끼타령> <왈자타령> <가짜신선타령>
이들 열두 마당 가운데 일제 때 씌어진 정노식의 <<조선창극사>>에서는 <왈자타령>을 <무숙이타령>으로, <가짜신선타령>을 <숙영낭자전>으로 설명(說明)하고 있다아
우리나라 판소리 이론(理論) 정립의 시조였던 오위장 신재효는 판소리 열두마당이 거의 사라지고, 남아서 불려지던 다섯 마당조차 창자에 따라 각양각색으로 변질되는 것을 보다못해 <춘향가> <심청가> <홍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타령>등 여섯 마당의 사설을 정리(整理) 하고 판을 새로이 짜서 정리(整理) 했다.
`정병욱`의`한국의 판소리`에 대한 독후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