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AEA 사찰과 북한 핵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0 08:35
본문
Download : IAEA 사찰과 북한 핵문제.hwp
그러나 IAEA와 당사국간에 체결된 안전조치협정은 당사국이 NPT 회원국으로 남아 있는 한 협정이 유효하다고 규정하고 있다 (안전조치협정 제26조)
그러므로 IAEA를 탈퇴하더라도 NPT 회원국으로 남아 있는 한 안전조치협정에 따라 IAEA 사찰을 받을 의무가 있고, IAEA에 핵활동을 보고해야 하며, IAEA는 당사국이 안전조치협정 위반시 제재조치를 취할 수 있다
NPT를 탈퇴하면 안전조치협정도 자동적으로 파기되므로(안전조치협정 제 26조), IAEA의 사찰을 받을 의무가 없게 된다된다. NPT 탈퇴에 대한 법적인 제재조치는 없다.
IAEA 탈퇴절차(IAEA 헌장 18조)는 IAEA 가입 비준서 수탁국(受託國)인 미국에 서면통보하고 IAEA 사무국측의 탈퇴의사 확인으로 탈퇴효력이 발생된다된다. 그러나 북한은 `NPT 탈퇴 잠정유보`라는 「특수한 지위」를 내세워 북한의 16개 IAEA 신고시설에 대한 전면적인 사찰을 거부한 채 미국과의 실무회담 …(skip)
,공학기술,레포트
Download : IAEA 사찰과 북한 핵문제.hwp( 67 )
설명
레포트/공학기술






IAEA 사찰과 북한 핵문제
IAEA 탈퇴절차(IAEA 헌장 18조)는 IAEA 가입 비준서 수탁국(受託國)인 미국에 서면통보하고 IAEA 사무국측의 탈퇴의사 확인으로 탈퇴... , IAEA 사찰과 북한 핵문제공학기술레포트 ,
순서
IAEA 탈퇴절차(IAEA 헌장 18조)는 IAEA 가입 비준서 수탁국(受託國)인 미국에 서면통보하고 IAEA 사무국측의 탈퇴의사 확인으로 탈퇴...
다. 그러나 NPT 탈퇴가 세계평화에 대한 위협으로 판단되면 UN 안보리에 의한 제재가 실행될 수 있다 (UN헌장 39조)
북한은 IAEA의 특별사찰 요구와 TS 재개를 이유로 내세워 `93.3.12. NPT 탈퇴를 선언했으나, `93.6.11. 1 단계 북·미 고위급회담시 NPT 탈퇴를 잠정 유보하기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