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속요 여음의 양상과 기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2 01:00
본문
Download : 고려 속요 여음의 양상과 기능.hwp
<만전춘별사>의 마지막 부분이 이를 어느 정도 뒷받침해 줄 수 있을 듯하…(생략(省略))
고려 속요 여음의 양상과 기능에 대해 조사한 data(자료)입니다.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고려 속요 여음의 양상과 기능
고려 속요 여음의 양상과 기능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오히려 원사의 내용에 없던 것을 무리하게 ‘아소 님하’ 이하를 받고 있는 느낌이다. 다시 말해서, <정과정>이라는 유식자층의 충신연주지사가 지니던 ‘아소 님하’의 전통이 <이상곡>과 같은 非충신연주지사들의 악자에 편입되는 과정에서 의도적으로 덧붙여졌을 가능성도 있는 것이다.고려속요여음양상10 , 고려 속요 여음의 양상과 기능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고려속요여음양상10
Ⅰ. 서론
Ⅱ. 본론
1. 여음의 발생
2. 여음의 의미
3. 여음의 분류
4. 여음의 기능
5. 고려 가요에 나타난 여음의 양상
6. 음악적 측면에서 본 여음의 종류 및 형태
Ⅲ. 결론
<이상곡>을 살펴보면, ‘아소 님하’ 부분은 바로 위에 제기된 물음에 대한 대답의 형식을 하고 있는데, 의미상 본사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내용과 직접 관련되는 것이라고는 보기 어렵다. 이는 <정과정>이 본사의 내용을 압축한 형태로서 주제행이라 할만한 ‘아소 님하’ 부분을 가졌던 것과는 대조된다 <이상곡>에서 보여주는 ‘아소 님하’와 같은 이러한 압축 부분은 민요가 궁중속악으로 편입하면서 덧붙은 좋은 예가 되겠다.
Download : 고려 속요 여음의 양상과 기능.hwp( 63 )
다.